중국 NFT 시장 규제 및 현황 분석
암호화폐 지불결제 플랫폼 트리플 A가 조사한 바에 따르면, 중국은 1988만3262명으로 전세계 6위를 차지했습니다. 전세계 유저수 순위에 비해 총인구 대비 암호화폐 소유자 비율은 1.33%에 달해 중국 크립토 시장이 거대한 블루 오션임을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러나, 인구수에 비해 극히 적은 유저는 이유가 있는 법입니다.
중국의 암호화폐 규제로 인해 글로벌 웹 3.0 세계로 중국인 유저의 진입이 쉽지 않아 보입니다.
그렇다면 2018년 부터 블록체인 국가기술 표준을 정할거라 외치던 중국은 지금,
자국 내에서 NFT 시장에 대해 어떻게 규제하고 있을까요?
창작자 경제 시대의 중심으로 떠오른 해외 NFT와 비교했을 때
중국의 디지털 콜렉션은 아래 표에서 보듯이 여러가지 많은 제약이 있습니다.
1️⃣NFT 명칭에 대한 제약:
빅테크 기업은 중국 정보 규제 대한 사전조치로 NFT 명칭 삭제하고 '디지털 수집품(数字藏品)'으로 변경하여 서비스 시행 중
2️⃣2차거래에 대한 제약:
NFT에 금융 속성을 부여하여 큰 거품을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중국에서는 2차 거래가 공식적으로 불가합니다.
(플랫폼마다 다르긴 하나 기본적으로 2차거래에 제약이 있습니다. 하지만 기간 내에 무료양도가 가능하니 음지 거래가 가능할 듯 합니다.)
(+추가 2023.02.14 - 22년 3월 실제로 위챗 채팅방을 통해 암거래 되고 있는 중국 NFT)
2차 거래 제한으로 인해 계좌이체를 통해 거래되고 있습니다.
3️⃣거래 수단의 제약:
암호 화폐 사용이 활발해 질 시에 국가 화폐에 대한 도전이 될 수 있기 때문에
법정화폐로만 거래가능합니다. (ex. 미국 vs 메타)
현재 중국 NFT 시장에 많은 제약이 걸려있는 와중에,
중국이 국가주도의 NFT 마켓을 출범한다고 합니다.
해당 플랫폼은 기관과 개인 사용자를 대상으로 운영되며, 디지털 자산의 ▲등록 ▲권리 확인 ▲저장 ▲권리 보호 모니터링 ▲저작권 보호 서비스 등이 제공된다.
출처 : 코인데스크 코리아 (http://www.coindeskkorea.com/news/articleView.html?idxno=82722)
국가주도 마켓인 만큼 중국 NFT 시장의 마켓 표준이 될 가능성이 높아 정책에 대한 부분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이에 따라 1월 1일이 되자마자 해당 플랫폼에 들어가서 정책 관련 부분을 찾아보려고 했는데, 사이트를 도무지 찾을 수가 없었습니다.

플랫폼이 정식 출범된다면 정책 관련 부분에서 후속 리서치를 진행하겠습니다.
+추가(2023.02.06) 아직 열리지 않아 후속 리서치를 진행하지 못했습니다.
www.cdex.cn 이니 궁금하신 분을 위해 주소 남겨둡니다.
🚩시사점
중국 정부는 기본적으로 블록체인 기술이 "탈중앙화" 적인 성향으로 가는 것을 제재하고 있으며, 중앙통제로 중국 정부가 표준을 세우면 회사들이 이에 따르도록 하고 있습니다. 블록체인의 기술적인 장점과 실물경제 있어서 마케팅 적인 측면으로 도움되는 전제 하에 가상 경제를 인정하고 있는 듯 합니다.
💭내 예상
국가 규제로 인해서 중국 플랫폼은 웹 3.0의 탈중앙화적인 방향으로 발전하기에 큰 제약들이 있습니다. 암호화폐 거래를 할 수 없고, 자체 코인 역시 발행할 수 없고, NFT 거래에도 양도만 가능하고 2차거래에 제한이 있습니다. 이때문에 글로벌 플랫폼을 사용 중인 중국 유저들은 중국 자국 플랫폼으로 이탈할 가능성이 적어지게 되며, 투자를 위해 오히려 적극적으로 글로벌 플랫폼을 사용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중국 내 게임회사, 콘텐츠 회사들은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여 수익을 얻기 위해 회사의 이름을 감추거나, 외국 국적을 가진 사람을 대리인으로 세워 글로벌 블록체인 업계를 두드리는 모습이 앞으로 더 펼쳐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즉, 글로벌 플랫폼 내에서 중국 웹 3.0 방향은 유저와 프로젝트가 산개하여 활동할 것 같습니다. 이때 글로벌 플랫폼은 중국 회사들의 콘텐츠 프로젝트를 받아들이며 플랫폼 내 상품군을 늘리는데 도움이 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이들을 향한 적극적인 영업이 필요해보입니다.
(+추가) 디지털 위안화로 NFT 거래 가능해지나?
중국이 유통통화에 CDBC를 포함한다고 합니다. 이때 중국 국가주도 NFT 마켓에도 디지털위안화로 거래가 될지 궁금해지는 바 입니다.
+2023.02.06 현재 디지털 위안화로 중국 내 가능한 것:
-증권 매수
-디지털 위안화 시범지역에서 시범 결제지점에서 거래가능
요약
중국 내수 시장: 단순 수집품. 2차거래 불가. NFT 구매 시 법정화폐만 사용가능
중국 국가주도 NFT 마켓 정책 따라 중국 내수 NFT 마켓 시장 변화 생길 수 있어 주의 관찰 요먕
예상
중국 컨텐츠, 게임 단위가 수익을 위해 해외 웹3.0으로 진출 많이 할 듯. 글로벌 플랫폼 이들 수용하며 판매군 늘릴 듯
앞으로 지켜봐야할 것:
중국 국가주도 NFT 마켓의 정책 부분
-디지털 위안화 사용 여부
-기존 자국 내 플랫폼과 차이점
참고자료
https://www.blockmedia.co.kr/archives/248990
전세계 암호화폐 보유자 3억2000만명--미국이 4600만 1위, 대한민국은 29위 200만 | 블록미디어
전세계 암호화폐 소유자 현황--소스 triple A 암호화폐 지불결제 플랫폼 트리플 A가 전세계 암호화폐 소유자 수가 22년 현재 3억 2000만명에 달할 것으로 추정했다. 아시아가 1억3000만명으로 가장 많
www.blockmedia.co.kr
https://www.coindeskkorea.com/news/articleView.html?idxno=82722
중국 '디지털 자산 거래 플랫폼' 출범…NFT 거래 가능 - 코인데스크 코리아
중국이 대체불가능토큰(NFT) 거래가 가능한 디지털 자산 거래 플랫폼을 출범한다. 중국이 NFT 시장에 진출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28일(현지시각) 현지 매체 시나닷컴과 차이나데일리에 따르
www.coindeskkorea.com
https://csf.kiep.go.kr/consultingInfoView.es?article_id=48772&mid=a20400000000
중국 디지털 콜렉션을 활용한 마케팅에 주목
CSF 중국전문가포럼
csf.kiep.go.kr
http://www.cb.com.cn/index/show/gd/cv/cv1361812461496